비트스포츠 멤버십에 가입하고 모든 콘텐츠를 읽으세요!

52회차 경기

계산기 바로가기

회차 경기 리스트
번호 경기일시 홈팀 - 원정팀 프리미엄PICK
82 05/01 (목) 01:30 알나스르 vs 가와사키 PICK
91 05/01 (목) 04:00 바르셀로나 vs 인테르 PICK
271 05/02 (금) 03:30 노팅엄 vs 브렌트포드 PICK
281 05/02 (금) 04:00 베티스 vs 피오렌티나 PICK
285 05/02 (금) 04:00 유르고르덴 vs 첼시 PICK
289 05/02 (금) 04:00 토트넘 vs 보되글림트 PICK
293 05/02 (금) 04:00 빌바오 vs 맨체스터U PICK

▶약 이름 뒤에 붙는 '약'과 '제'의 차이는?

2016년03월08일 16시46분
  • 페이스북으로 보내기
  • 트위터로 보내기
1457320545352929
약의 이름 뒤에는 '약'이라는 글자가 붙는 경우와 '제'라는 글자가 붙는 경우가 있다. '약'과 '제'의 차이는 무엇일까? 

여러 약의 이름 뒤에 붙는 '제'라는 글자는 '劑:약제 제'라는 한자이다. 해열제, 소화제 등이 그 예이다.  

그런데 설사약에 대해서는 설사제라는 말 대신 지사제라는 말을 사용한다. 이런 차이는 왜 벌어지는 것일까? 

'약'이라는 글자와 '제'라는 글자의 용법차이 때문이다. 

'약'이라는 글자는 감기약, 설사약, 변비약 같이 질병으로 인한 증상, 질병의 뒤에 붙는다. 만약 감기제, 설사제, 변비제라고 쓴다면 그것은 틀리게 쓴 것이다. 

1457320597750415



'제'라는 글자는 그 약이 가진 효과의 뒤에 붙어 사용된다. 그래서 설사를 멈추는 '지사'효과를 가진 설사약을 지사제, 열을 내리는 효과를 가진 감기약을 '해열제'등으로 부르게 된다. 

당신이 변비로 인해 큰 고통을 겪는 상황이라고 가정해보자. 어쩌면 당신은 배변을 위해 약국에 가서 "설사약 주세요"라고 말할 지도 모른다. 만약 당신이 그렇게 말한다면 약사는 당신에게 변비약이 아닌 설사약 즉 배변제가 아닌 배변을 막는 '지사제'를 주게 될 것이다. 

쓸데없는 상식이라고? 만약 당신이 '약'과 '제'의 올바른 용법을 알게되면 박명수 같은 실수는 저지르지 않았을 것이다.
비트스포츠 프리미엄PICK